본문 바로가기
비트코인

비트코인 지갑 만들기

by 정부지원금융왕 2022. 8. 18.
 

 비트코인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지갑(Wallet)을 만들어야 하는데, 지갑을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은 대표적으로 세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풀 노드 월렛(Full node wallet)으로, 자신의 컴퓨터를 비트코인 블록체인의 일원으로 가입시켜 블록체인상 거래를 검증하고 수락한 뒤 다른 노드로 발신하면서 이 소프트웨어에 내장된 지갑 기능도 이용하는 것이다. 이는 비트코인 네트워크가 더욱 안전해지는 데 기여할 수 있고, 제삼자가 관여하지 않아 가장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컴퓨터를 항상 켜두어야 하고 150GB에 가까운 블록체인 용량을 차지하기 때문에 개인들은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비트코인 노드는 인터넷상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두 번째는 라이트 월렛(Lite Wallet)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모든 블록을 다운로드받지 않고 자신의 거래와 관련된 부분만 내려받으며 거래 중계를 이용 시에는 원격 서버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 기능은 컴퓨터를 항상 켜두지 않아도 되며 자원도 훨씬 적게 차지한다. 대표적인 소프트웨어로는 일렉트럼이 있다. 지갑을 생성하면 지갑 주소와 개인 키(Private Key)가 나온다. 지갑 주소는 계좌번호와 같으며, 이를 상대방에게 알려주어 송금을 할 수 있다. 개인 키는 비밀번호로, 이것을 알면 비트코인을 다른 지갑으로 가져가 버릴 수 있다. 따라서 개인 키 관리를 잘해야 하며, 혹시 라이트 월렛이 없어지거나 지갑에 접근하는 계정을 모를 경우를 대비해서 종이에 개인 키와 주소를 적어두자. 개인 키를 모를 경우 절대 비트코인에 접근할 수 없다. 개인 키는 종류가 여러 가지 있는데, 주소마다 대응하는 대칭 키, BIP32, BIP39, BIP44, WIF 등... 서비스마다 복호화 가능한 개인 키의 종류가 다르므로 주의하자. 마지막으로 웹 월렛(Web Wallet)이 있다. 가장 간편하며 복잡한 개인 키가 아닌 아이디, 비밀번호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선호된다. 하지만 모든 자금의 관리를 웹 월렛을 제공하는 회사에 일임하기 때문에 보안성이 가장 낮다. 대표적으로는 각 거래소의 계좌가 있으며 Blockchain.info와 Coinomi같은 앱이 있다. 대부분의 거래소는 개인 키를 제공하지 않고 핫 월렛을 운영하기 때문에 해킹당할 시 자신은 그 지갑에 대해 아무 권한도 없어서 해킹당한 만큼 액수를 차감 당할 수 있다. 암호화폐 시장은 돈을 목적으로 하는 해커들이 가장 선호하는 목표물 중 하나라 해킹 자주 당하며, 마운트 곡 수 파산 사태처럼 거래소 파산이나 이-비트코인처럼 당국의 암호화폐에 대한 출금 규제 등으로 언제든지 계좌에 있는 비트코인이 내 비트코인이 아니게 될 수 있다. 하지만 일렉트럼 등으로 자신의 컴퓨터에 생성한 지갑으로 비트코인을 옮겨놓으면 외부 요인과 상관없이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자신의 컴퓨터도 시장보다는 안전하지만 있으므로 거액의 암호화폐는 오프라인 보관소인 콜드 스토리지에 보관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 은행이라면 은행이 없어질 경우 자금을 찾기 힘들지만, 비트코인에는 은행이라는 개념이 없다. 지갑은 네트워크와 사용자를 연결해주는 수단일 뿐이고, 지갑이 없어져도 돈은 네트워크 자체에 "기록"되어 있다. 이에 접근할 수 있는 수단이 개인 키이고. 비트코인을 지갑과 지갑 사이에 이동시키는 것을 거래라고 하며, 보통 몇 분에서 최장 10시간 이상 걸릴 경우도 있다. 왜냐하면 비트코인은 디지털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얼마든지 복사나 변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막기 위해 기존의 거래 명세와 새로 만들어진 명세를 서로 검증하는 승인(confirmation) 작업을 거치기 때문이다. 3~6번의 승인을 거친 뒤에 정상적인 거래로 인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늘어난 비트코인 거래에 비해 승인 속도가 따라잡지 못하고 있어 속도가 계속 느려지고 있다. 시장에서 구입한 비트코인을 일렉트럼 등으로 생성한 자신의 컴퓨터의 지갑으로 전송한 후, 송금에 필요한 개인 키(private key)를 트루 클립으로 암호화한 공간에 저장하면 안전하다. 암호화된 볼륨을 여러 개 복사하여 유에스비메모리 컴퓨터 하드에 저장하면 USB 메모리 분실이나 고장에 대비할 수 있다. 암호화 볼륨의 암호를 영어 소문자, 대문자, 숫자, 특수문자를 모두 넣어서 12자리 이상으로 만들면 USB 메모리를 분실해도 꽤 안전하다. 다만 3년 이상의 장기 보관 시에는 USB도 데이터 자체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이러한 오프라인 저장소를 콜드 스토리지(cold storage)라고 부른다. 송금을 빨리하고 싶은 경우 수수료를 많이 지불하면 된다. 발굴자들이 송금 수수료가 많은 거래부터 처리하기 때문에 수수료가 높을수록 우선순위가 생기게 되며 승인 또한 빠르게 처리된다. 이 수수료는 비트코인 네트워크를 유지하는 비용으로 사용된다. 수수료를 내지 않아도 상관없으나 이 경우에는 거래 승인에 몇 주 이상이 걸리거나 혹은 영원히 승인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수수료를 내는 것이 좋다. 소프트 지갑을 이용할 경우 대부분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적당한 수수료를 제시해주므로 이를 따르도록 하자. 또한 이러한 수수료를 지불하게 함으로써 적은 수수료를 이용하여 많은 비정상적인 거래를 발생시키는 DoS 공격으로부터 비트코인 네트워크를 방어할 수 있다. 전쟁이 발발했을 때 국외로 대량으로 가지고 나갈 수 없는 미국 달러나 금과는 달리 비트코인은 전 세계의 컴퓨터에 내 비트코인이 저장된 것이나 마찬가지이므로 종이 등에 직접 키를 적어서 들고 다니거나 클라우드 등에 키 파일을 트루 클립 트므로 암호화하여 업로드한다면 몸만 부지해서 외국으로 나가도 해외로 거액의 자금을 안전하게 가지고 나가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비트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 개요  (0) 2022.08.20
비트코인의 역사  (0) 2022.08.18
비트코인 채굴  (0) 2022.08.18
화폐경제는 피교환게임이다.  (0) 2022.08.17
화폐가치를 미래로 동일한 가치로 보내려면?  (0) 2022.08.17

댓글